´″’´°³о♡ 1대간9정맥/백두대간종주[完]

◎ 백두대간 자료[폄]

나정희 2009. 11. 26. 14:09

□ 백두대간이란?

▶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입니다.

□ 백두대간 개념도 
[img1]

 

 
□ 백두대간의 구성 (체계도)
[img2]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표시된 15개의 산줄기들은 10개의 큰강에 물을 대는 젖줄이자 그것을 구획하는 울타리입니다.
      ※ 산이름으로 된 것(2개)    :  백두대간, 장백정간
        지방이름으로 된 것(2개) : 호남정맥, 해서정맥
        강이름으로 된 것(11개)


  • 백두대간 (白頭大幹)
    (백두산∼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태백산∼속리산∼덕유산∼지리산)

  • 장백정간(長白正幹) (원산∼서수라곶산)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수성천의 분수령.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시작된 다.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궤상봉(2,541m), 등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 로 관통하는 산줄기. 두만강 하구 서수라곶에서 끝을 맺는다.
  • 낙남정맥(洛南正脈) (지리산∼분산)
    북 낙동강이 흐르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 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낙동강 하구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옥산(614m), 무량산(575m), 여항상(744m), 무학산(763m) 등이 속한다.
  • 청북정맥(淸北正脈)(낭림산∼미곶산)
    평안북도 내륙을 관통하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룬다.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신의주 남쪽 압록강 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대암산(1,566m), 삼봉산(1,585m), 등이 속한다.
  • 청남정맥(淸南正脈) (낭림산∼광량진)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청천강의 남쪽 유역과 대동강의 북쪽 유역을 경계하는 분수령. 묘향 산(1,365m), 용문산(1,180m), 서래봉(451m),
    강룡산(446m), 광동산(396m)을 지나 용강의 남포에서 대동강 하구 광량진에서 끝난다.
  • 해서정맥(海西正脈) (개연산∼장산곶)
    백두대간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서해 장산곶에서 끝난다.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지방의 문화를 경계하는 분수령이다. 화개산(1,041m), 대각산(1,277m),
    설봉산(600m)등이 해서정맥에 속한다.
  •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개연산∼풍덕치)
    북으로 임진강, 남으로 예성강의 분수령.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룬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점, 즉 개성의 남산인 진봉산(310m)이다. 학봉산 (66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 등이 속한다.
  • 한북정맥(漢北正脈) (분수령∼장명산)
    한북정맥은 북으로 임진강 남으로 한강의 분수령. 백봉에서 시작한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 낙동정맥(洛東正脈) (태백산∼몰운대)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다대포의 몰운대에서 끝난다. 동해안 지방의 담장 역할을 한다. 백병산(1,259m), 통고산(1,067m),
    백암산(1,004m), 주왕산 (720m), 단석산(829m), 가지산(1,240m) 신불산(1,209m) 등이 속한다.
  •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속리산∼칠현산)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으로 속리산에서 시작하여 칠현산에서 끝난다. 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등이 한남금북정맥을 이룬다.
  • 한남정맥(漢南正脈)(칠현산∼문수산)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령.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백운산, 성륜산, 광교산 등이 속한다.
  • 금북정맥(錦北正脈) (칠현산∼안흥진)
    남으로 금강이 흐른다.
    한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 (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태안반도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장안치∼마이산)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장수 영취산(1,076m)에서 시작하여 진안부귀산(806m)까지 이어진다. 장안산(1,237m) 수분현(530m)
    팔공산(1,151m), 임실 성수산(1,059m), 진안 마이산 (667m), 등이 속한다.
  • 금남정맥(錦南正脈) (마이산∼조룡산)
    금강의 남쪽 울타리. 그러나 온전한 울타리를 이루지는 못한다. 애매한 지점(565m)에서 출발하여 부소산 조룡대에서 끝난다. 대둔산(878m), 계룡산(828m),
    운장산(1,126m), 등이 속한 다.
  • 호남정맥(湖南正脈) (마이산∼백운산)
    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이다.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 문화권을 구획하는 경계선.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래친 후 백운산에서 끝난다. 남도의 큰 산을 모두 끌어앉는다. 만덕산(762m), 내장산(763m), 추월산(729m), 무등산(1,187m), 제암산(779m),
    조계산(884m) 등이 속한다.




    • ▶ 우리국토의 등뼈를 이루는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유래는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인 {백두산(白頭山)}의 신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백두산은 고대 단군신화로부터 시작해서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본격적으로 숭배화한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설화부터라 생각됩니다.
        또한 조선 세종때 두만강,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을 확보함에 따라 백두산은 영토의식 성립과 함께 민족의 산으로 명실상부하게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 이후 관찬사료인 세종실록에 [백두산(白頭山)의 내맥(來脈)], 조선왕조 실록에는 산맥 · 정맥 · 대맥 등의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8세기에 이르러 함경도지도, 이익의 성호사설등 고지도와 지리서에 [백두대간]이라는 표기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자료출처 :: 산림청



      구분

      탐 방 코 스

      도상
      거리

      실제
      거리

       

      합 계

      672㎞

      1,240㎞

      지리산권

      소 계

      77.1

      142.2

      지리산(천황봉)→장터목산장→촛대봉→세석산장

      4.4

      8.1

      세석산장→선비샘→벽소령→연하천산장→총각샘→토끼봉

      11.5

      21.2

      토기봉→뱀사골산장→임걸령→노고단→고리봉 →헬기장

      12.8

      23.6

      헬기장→만복대→정령치→수정봉→입망치

      13.5

      24.9

      입망치→여원재→고남산→상사바위→매요마을

      11.5

      21.2

      매요마을→이실재→새맥이재→시리봉→복성이뒤재→꼬부랑재

      11.6

      21.4

      꼬부랑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고개재

      11.8

      21.8

      덕유산권

      소 계

      119.1

      219.4

      중고개재→백운산→깃대봉→육십령

      15.4

      28.4

      육십령→바위지대→서봉→남덕유산→삿갓봉→삿갓골재

      11.1

      20.5

      삿갓골재→두룡산→동엽령→중봉→헬기장→빼재

      19.5

      35.5

      빼재→삼봉산→지경내→초점산→대덕산→덕산재→쑥병이

      16.6

      30.6

      쑥병이→삼도봉

      8.1

      13.7

      삼도봉→질매재→바람재

      15.8

      29.2

      바람재→황학산(비로봉)→여시골산→궤방령→모리골→가성산→눌의산→당마루

      15.8

      29.2

      당마루→사기점→갈현고개→국수봉→큰재

      17.5

      32.3

      속리산권

      소 계

      100.9

      185.6

      큰재→백학산→선유골→지기재

      17.9

      33.3

      지기재→신의터고개→화령산→봉항산

      17.9

      33.3

      봉화산→비재→828고지

      7.1

      13.1

      828고지→형제봉→속리산(천황봉)→문장대→눌재

      14.8

      27.3

      눌재→청화산→갓바위재→조항산→고모치

      7.5

      13.8

      고모치→대야산→분란치재→장성봉→헬기장

      13.5

      24.9

      헬기장→은치재→구왕봉→희양산→시루봉→이만봉→981고지

      11.8

      21.8

      981고지→백화산→황학산→조봉→이화령

      9.8

      18.1

      소백산권

      소 계

      106.6

      196.7

      이화령→조령산→마패봉→조령3관문→부봉 →하늘재

      16.3

      30.1

      하늘재→포함산→대미산

      13.5

      24.9

      대미산→황장봉산→벌재→저수재

      15.6

      28.8

      저수재→배재→싸리재→뱀재→묘적령→도솔봉→죽령

      20.1

      37.1

      죽령→연화봉→소백산(비로봉)→국망봉→상월산→1272고지

      15.0

      27.7

      1272고지→마당치→고치령→미내리→마구령

      14.7

      27.1

      마구령→늦은목이→석달산→박달령

      11.4

      21.0

      태백산권

      소 계

      97.8

      181.6

      박달령→옥돌봉→도래기재

      6.1

      11.3

      도래기재→구룡산→고부령→장바위

      14.4

      26.5

      장바위→태백산→화방재

      10.1

      18.6

      화방재→함백산→싸리재→1233.1고지

      14.5

      26.8

      1233.1고지→매봉산→피재→한의령→새맥이

      17.1

      32.7

      새맥이→덕항산→큰재→댓재

      11.1

      20.5

      댓재→두타산→청옥산→고적대

      13.0

      24.0

      고적대→이기령→상월산→987.2고지

      11.5

      21.2

      오대산권

      소 계

      72.1

      133.0

      987.2고지→백봉령→지병산→생계령

      12.1

      22.3

      생계령→석병산→두리봉→삽당령

      12.2

      22.5

      삽당령→석두봉→화란봉→닭목재

      12.9

      23.8

      닭목재→고루포기산→능경목→대관령

      12.1

      22.3

      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

      11.3

      20.9

      매봉→소황벽산→노인봉→진고개

      11.5

      21.2

      설악산권

      소 계

      98.4

      181.5

      진고개→동대산→두로봉

      8.1

      14.9

      두로봉→신배령→만월봉→응복산→약수산 →구룡령

      14.0

      25.8

      구룡령→갈전곡봉→쇠나드리

      17.5

      32.3

      쇠나드리→조침령→북암령→단목령→4거리

      13.1

      24.2

      4거리→점봉산→망대암산→한계령→샘터

      13.5

      24.9

      샘터→끝청→대청봉→희운각→산장→마등령

      11.7

      21.6

      마등령→저항력→미시령

      7.8

      14.4

      미시령→삼봉→신선봉→마산→진부령

      12.7

      23.4


      자료출처 : 산림청
       


      ▶ 백두대간의 주요산과 봉우리
      ink="purple" alink="red">

      순서

      지 명

      고도(m)

      위 치

      현 황

      1

      마 산

      1,052

      강원도 고성군

      풍속계측기가 있음(높이 5∼10m,
      넓이5평), 방치된 군부대 건물

      2

      신 선 봉

      1,204

               "          , 인제군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3

      ※ 황 철 봉

      1,381

      강원도 인제군, 속초시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4

      ※ 대 청 봉

      1,708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

      기념비석과 안내판,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에 대피소가 있음

      5

      ※ 망대암산

      1,236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정상주변은 바위지대로 위험지역

      6

      ※ 점 봉 산

      1,424

      이정표, 정상표시석

      7

      갈전곡봉

      1,204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

      정상부 너른터

      8

      약 수 봉

      1,306

      강원도 홍천군, 양양군

       

      9

      응 복 산

      1,360

       

      10

      ※ 두 로 봉

      1,422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강릉시

      오대산국립공원, 이정표와 동부지방산림관리청 안내판

      11

      ※ 동 대 산

      1,434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산불감시초소, 천연보호림지시석, 국립공원이정표, 정상에 헬기장

      12

      ※ 노 인 봉

      1,338

      정상 바로 밑에 산장, 이정표 있음

      13

      ※ 소황병산

      1,338

      정상 표시석, 안내판, 정상은 초지(목장)

      14

      ※ 매 봉

      1,173

      목장, 기상관측시설

      15

      능 경 봉

      1,123

       

      16

      고루포기산

      1,238

      정상 남쪽에 고랭지 채소 재배단지,
      송전철탑

      17

      화 란 봉

      1,069

      강원도 강릉시

       

      18

      석 두 봉

      991

      정상 바위지대

      19

      두 리 봉

      1,033

      강원도 정선군, 강릉시

       

      20

      석 병 산

      1,055

      정상 바로밑 헬기장

      21

      자 병 산

      873

      한라시멘트 석회광산

      22

      상 월 산

      970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헬기장

      23

      고 적 대

      1,354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삼척시

      정상표시석, 동부지방산림관리청
      경고판

      24

      청 옥 산

      1,404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정상은 50평 규모의 너른 터

      25

      두 타 산

      1,353

      기념비석, 헬기장

      26

      덕 항 산

      1,071

      강원도 삼척시, 태백시

      산불감시탑

      27

      매 봉 산

      1,303

      강원도 태백시

      산 전체가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낙동정맥 분기점

      28

      함 백 산

      1,573

      강원도 태백시, 정선군

      정상에 KBS중계소와 군부대,
      폐광된탄광, 도로망이 얽혀있음

      29

      태 백 산

      1,567

      강원도 태백시

      도립공원, 정상에 천제단, 헬기장,
      기념비석, 기상측후시설이 있음

      30

      구 룡 산

      1,346

      강원도 영월군,
      경북 봉화군

      헬기장, 산불방화선

      31

      옥 돌 봉

      1,242

      경상북도 봉화군

      헬기장

      32

      선 달 산

      1,236

      강원도 영월군,
      경북 영주시, 봉화군

      헬기장

      33

      ※ 국 망 봉

      1,421

      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

      소백산국립공원, 이정표, 안내판

      34

      ※ 소 백 산

      1,440

      정상기념비석, 안내판, 이정표,
      정상 밑에는 무인대피소

      35

      ※ 도 솔 봉

      1,314

      이정표와 헬기장

      36

      ※ 황 정 산

      1,078

      경상북도 문경시

      월악산국립공원, 헬기장, 정상 표지목

      37

      ※ 대 미 산

      1,115

      충북 제천시,
      경북 문경시

      돌탑과 기념비석

      38

      ※ 포 암 산

      962

      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

      돌탑과 기념비석

      39

      ※ 마 폐 봉

      927

      이정표, 기념비석

      40

      조 령 산

      1,025

      돌탑, 표지석, 문경새재도립공원

      41

      백 화 산

      1,064

      기념비석

      42

      회 양 산

      998

      바위지대

      43

      ※ 장 성 봉

      915

      경상북도 문경시

      정상 표시목

      44

      ※ 대 야 산

      931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기념비석, 정상 표시목

      45

      조 항 산

      951

      정상 표시목

      46

      청 화 산

      984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상주시

      정상 표시목

      47

      ※ 문 장 대

      1,029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

      경찰통신중계소, 이정표, 헬기장,
      전망대

      48

      ※ 천 황 봉

      1,058

      국립공원 안내판, 정상기념비석,
      한남금북정맥분기점

      49

      ※ 형 제 봉

      803

      정상표시목

      50

      봉 황 산

      741

      경상북도 상주시

      정상표시목

      51

      백 학 산

      615

      제단과 태극기 있음

      52

      국 수 봉

      793

      충북 영동군,
      경북 상주시

      돌탑, 제단

      53

      묘 함 산

      733

      경북 김천시,
      충북 영동군

      통신중계소, 도로

      54

      눌 의 산

      743

      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

      헬기장

      55

      가 성 산

      720

      56

      황 학 산

      1,111

      헬기장, 정상기념비석

      57

      삼 도 봉

      1,177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정상에 대형 기념탑, 헬기장, 이정표

      58

      대 덕 산

      1,290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헬기장

      59

      삼 봉 산

      1,254

      전북 무주군,
      경남 거창군

      정상에 기념비석

      60

      ※ 무 룡 산

      1,492

      덕유산국립공원, 헬기장, 이정표

      61

      ※ 남덕유산

      1,507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거창군

      국립공원 이정표

      62

      ※ 남덕
          유서봉

      1,500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헬기장

      63

      깃 대 봉

      1,015

      정상부 초지

      64

      영 취 산

      1,076

      호남정맥의 분기점

      65

      백 운 산

      1,279

      헬기장, 기념비석

      66

      월 경 산

      980

      경남 함양군,
      전북 장수군


      67

      봉 화 산

      920

      전북 장수군, 남원시

      정상은 초지, 임도, 헬기장 있음

      68

      고 남 산

      846

      전북 남원시

      이동통신 중계소, 헬기장, 도로있음

      69

      수 정 봉

      805

      성터흔적이 있음

      70

      ※ 고 리 봉

      1,305

      태양열 연구시설, 이정표

      71

      ※ 만 복 대

      1,433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돌탑, 고산초지, 이정표 있음

      72

      ※ 노 고 단

      1,507

      전남 구례군

      KBS중계소, 산장, 야영장

      73

      ※ 반 야 봉

      1,732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74

      ※ 삼 도 봉

      1,449

      전북 남원시, 전남
      구레군, 경남 하동군

      이정표

      75

      ※ 천 왕 봉

      1,915

      경남 함양군, 산청군

      기념비석, 이정표, 헬기장

        ※는 국립공원에 포함된 산임

      ▶ 백두대간의 주요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행 정 소 재

      도 로 현 황

      진 부 령

      고성군 간성읍-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번국도,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미 시 령

      고성군 토성면-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 한 계 령

      인제군 북면-양양군 서면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설악산국립공원

      ※ 451번도로

      인제군 인제읍-양양군 서면

      2차선포장, 451번지방도, 설악산국립공원

      조 침 령

      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구 룡 령

      양양군 서면-홍천군 내면

      2차선포장, 56번국도, 산림문화회관

      ※ 진 고 개

      강릉시 연곡면
      -평창군 도암면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오대산국립공원

      대 관 령

      강릉시 성산면
      -평창군 도암면

      4번영동고속도로, 휴게소, 기상관측소

      닭 목 재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왕산리

      2차선포장, 137번지방도, 농업용창고 있음

      삽 당 령

      강릉시 왕산면 송현리
      -강릉시

      2차선포장, 35번국도, 고개양쪽으로 임도가
      나있음

      백 복 령

      정성군 임계면-동해시

      2차선포장, 42번국도, 철탑, 통신중계탑

      댓 재

      삼척시 미로면-하장면

      2차선포장, 424지방도, 소공원, 간이매점

      한 의 령

      삼척시 도계읍-하장면

      비포장도로 노폭 10m, 산신각

      피 재

      태백시 적각동-황지동

      2차선포장, 35번국도, 소공원, 간이매점

      싸 리 재

      태백시 화전동
      -정선군 고한읍

      2차선포장, 38번국도, 간이휴게소

      화 방 재

      영월군 상동읍-태백시 혈동

      2차선포장, 31번국도, 휴게소

      금 정 임 도

      봉화군 춘양면, 고도 970m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우구치 임도

      봉화군 춘양면, 고도 900m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7m

      도래기재

      봉화군 춘양면

      봉화방면 2차선포장, 영월방면 비포장,
      998번지방도

      박 달 령

      봉화군 물야면-춘양면

      비포장도로, 노폭 8m, 헬기장, 산신각

      ※ 마 구 령

      영주시 부석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소백산국립공원

      ※ 고 치 령

      영주시 단산면

      비포장도로, 헬기장, 산신각, 소백산국립공원

      ※ 죽 령

      영주시 풍기읍
      -단양군 대강면

      2차선포장도로, 5번국도, 소백산국립공원,
      휴게소

      저 수 재

      단양군 대강면
      -영주시 상리면

      2차선포장도로, 973번지방도, 휴게소, 주유소

      벌 재 재

      문경시 동로면

      2차선포장도로, 975지방도, 월악산국립공원

      ※ 하 늘 재

      문경시 문경읍
      -충주시 상모면

      비포장도로, 597번지방도, 노폭10m,
      월악산국립공원

      조 령

      문경시 문경읍
      -괴산군 영풍면

      2차선포장도로, 문경새재 도립공원,
      차량통행불가

      이 화 령

      문경시 문경읍
      -괴산군 영풍면

      2차선포장도로, 3번국도, 휴게소,
      지하터널공사

      ※ 불란치재

      문경시 가은읍

      2차선포장도로, 913번지방도,
      속리산 국립공원


      ▶백두대간의 주요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행 정 소 재

      도 로 현 황

      눌 재

      상주시 화북면

      2차선포장도로, 992번지방도,
      농업용 대형창고

      ※ 밤 티 재

      상주시 화북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속리산국립공원

      비 재

      상주시 화남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화 령 재

      상주시 화서면

      2차선포장도로, 25번국도, 공원 및 정자있음

      신의터고개

      상주시 화동면

      2차선포장도로, 군도, 소공원

      지 기 재

      상주시 모동면

      2차선포장도로, 군도

      백학산임도

      상주시 모동면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윗왕실임도

      상주시 공성면-외남면

      비포장도로, 노폭 10m

      봉산리도로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농업도로, 콘크리트포장, 노폭 10m

      큰 재

      상주시 공성면

      김천방면포장, 920번지방도,
      인성초등분교(폐교)

      작점리도로

      영동군 추풍령면-김천시
      어순면

      2차선포장도로, 지방도

      추 풍 령

      영동군-김천시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 4번국도, 면소재지

      궤 방 령

      영동군 매곡면-김천시 봉산면

      2차선포장, 977지방도

      질 매 재

      영동군 상촌면-김천시 부항면

      김천방면 2차선포장, 579지방도,
      매일유업 목장

      덕 산 재

      무주군 무풍면-김천시 대덕면

      2차선포장도로, 30번국도, 주유소, 휴게소

      소 사 재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무주방면 2차선포장도로, 1089지방도,
      간이매점

      신 풍 령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2차선포장도로, 727지방도, 휴게소

      육 십 령

      장수군 장계면-함양군 서상면

      2차선포장도로, 26번국도, 휴게소, 주차장

      중고개재

      장수군 번암면-함양군 백전면

      비포장도로, 노폭 6m

      봉화산임도

      장수군 번암면-아영면

      임업도로, 노폭 7m

      복성이뒷재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장수번암면 지방도, 남원 2차포장도,
      장수 포장공사중

      사 치 재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88고속도로, 휴게소

      유 치

      장수군 번암면-남원시 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마을있음

      여 원 재

      남원시 이백면-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24번국도, 마을있음

      고기리도로

      남원시 주천면-운봉면

      2차선포장도로, 730번지방도, 휴게소

      ※ 정 령 치

      남원시 주천면-산내면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지리산 국립공원

      ※ 성 삼 재

      구례군 산동면

      2차선포장도로, 861지방도, 휴게소

      ※ 벽 소 령

      함양군 마천면-하동군 화개면

      비포장도로, 군사도로, 마천방면 소형트럭
      이동 가능, 지리산국립공원


      ▶ 백두대간의 행정구역(진부령∼지리산)

      시·군

      읍 면

      6개도

      32개시·군
      (12개시·20개군)

      99개읍면동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토성면

      속초시

      설악동

      인제군

      서화면. 북면. 인제읍. 기린면

      양양군

      서면

      홍천군

      내면

      평창군

      진부면. 도암면

      강릉시

      연곡면. 사천면. 성산면. 옥계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

      삼화동

      삼척시

      미로면. 신기면. 도계읍. 하장면

      태백시

      혈동. 소도동. 황지동. 화전동. 적각동. 창죽동

      경 북

      봉화군

      소천면. 신기면. 석포면. 물야면. 춘양면

      강원도

      영월군

      고한읍. 상동읍. 하동면

      경 북

      영주시

      부석면. 단산면. 순흥면. 풍기읍. 봉현면

      충 북

      단양군

      영춘면. 가곡면. 단양읍. 대강면

      경 북

      예천군

      상리면

      충 북

      제천시

      한수면. 덕산면

      경 북

      문경시

      동로면. 문경읍. 마성면. 가은읍. 농암면

      충 북

      충주시

      상모면

      충 북

      괴산군

      연풍면. 칠성면. 청천면

      보은군

      내속리면

      경 북

      상주시

      내서면. 외남면. 화북·서·동·남면. 모서면. 모동면. 공성면

      김천시

      봉산면. 대항면. 구성면. 부항면. 대덕면. 어모면

      충 북

      영동군

      매곡면. 추풍령면. 상촌면

      전 북

      무주군

      설천면. 무풍면. 안성면

      경 남

      거창군

      고제면. 북상면

      전 북

      장수군

      계북면. 장계면. 번암면

      남원시

      아영면. 운봉읍. 이백면. 산동면. 주천면. 산내면

      경 남

      함양군

      서상면. 백전면. 마천면

      전 남

      구례군

      산동면. 광의면. 토지면. 마산면

      경 남

      산청군

      시천면

      하동군

      화개면

        ※ 행정구역 순서는 백두대간 마루금(진부령→지리산) 기준임.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현황

      o 총 괄 (단위 : 천ha)

      구 분

      개 소

      총면적

      산림편입면적

      국 유

      공 유

      사 유

      합 계

      67

      744

      438

      180

      49

      209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20

      20

      27

      647

      73

      24

      351

      66

      21

      171

      7

      2

      40

      4

      5

      140

      55

      14

       ※ 국립공원 647천ha : 육지 329천ha(51%), 해상 318천ha(49%)
      ※ 육상국립공원 95%가 산림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공 원 명

      지정일자

      지정면적

      산림면적

      %

      국유림

      %

      계 7개

       

      221,939

      210,055

      94.6

      113,325

      54.0

       (5) 설악산

      '70. 3. 24

      37,300

      35,520

      95.2

      29,276

      82.4

       (11) 오대산

      '75. 2. 1

      29,850

      26,506

      88.8

      16,274

      61.4

       (18)소백산

      '87.12. 14

      32,050

      30,049

      93.8

      23,066

      76.8

       (17)월악산

      '84. 12. 31

      28,450

      26,237

      92.2

      5,844

      22.3

       (6) 속리산

      '70. 3. 24

      28,340

      26,871

      94.8

      5,119

      19.1

       (10) 덕유산

      '75. 2. 1

      21,900

      20,870

      95.3

      10,786

      51.7

       (1) 지리산

      '67. 12. 29

      44,049

      44,002

      99.9

      22,960

      52.2

      계 2개(도립공원)

       

      2,274

      2,202

      96.8

      1,386

      62.9

       (20)태백산

       

      1,744

      1,681

      96.4

      1,394

      82.9

       (16)문경새재

       

      530

      521

      98.3

      2

      0.4

      ※ 1) 공원명 앞의 번호는 공원지정 순서임.
         2) 국유림은 산림청소관 국유림이며, 산림면적중 국유림 비율임.

      자료출처 : 산림청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상의 물을 구할 수 있는곳

       

      중산리(식당) - 로타리산장 - 천왕샘(간혹 마르는 경우가 많음) - 장터목산장 - 세석산장 - 덕평봉 선비샘 - 벽소령대피소 - 연하천산장 - 명선봉 총각샘 - 뱀사골산장 - 임걸령(간이화장실 근처) - 노고단산장 - 성삼재휴게소 - 정령치휴게소(마당 돌계단밑) - 고기리(식당, 야영, 민박기능) - 노치마을(노치샘, 가재마을) - 여원재(민가)매요리 (민가, 할머니 매점) - 사치재 (우측 10분거리 지리산휴게소) - 복성이재(좌측 마을 왕복 20분거리) - 봉화산 임도(우측 10분거리, 야영가능) - 광대치(우측 10분아래, 찾기 어려움) - 중재(우측 10분 거리,계곡물) - 영취산 (무령고개주변 샘터, 야영가능) - 덕운봉 20분거리(우측아래 100m, 컵 필요,양 적음,위생불량) - 깃대봉 지나서 15분거리 샘터(물 좋음) -육십령 휴게소(아래 식당에서 민박가능) - 월성치 (왼쪽 50m아래) - 삿갓골재 대피소 - 동엽령(좌측 계단아래 10분거리) - 빼재(신풍령휴게소, 동절기엔 휴게소 일찍문닫음/무주쪽 1KM 지점에 약수 좋음) - 소사재 (좌측 수퍼마켓) - 대덕산(얼음골약수터-하산 20분거리,물 좋음) - 삼도봉안부(헬리포트 있는곳 좌측 물한리 방향 5분거 리) - 밀목재(왼쪽 5분거리) - 우두령(우측농장옆 계곡) - 바람재(우측 10분거리 민가,멀고 힘듦) - 궤방령(우측10분거리, 괘방령도로에서 우측 김천쪽으로 150m가면 가스저장소맞은편 시멘트포장길따라 50m가면 식수있슴,개발로 찾기 어려움) - 추풍령(작은도시이므로 수퍼나 민가 이용) - 큰재(폐교된 인성초등학교앞 민가, 할머니 주의) - 개터재(우측 10분 거리) - 윗왕실고개(좌측 10분거리 민가) - 백학산(정상 지나 20분거리 임도) - 개머리재(민가)-지기재(민가, 과수 원) - 신의터재(좌측 10분거리 민가) - 화령재(좌측 10분거리 민가) - 비재(좌측 10분거리 계곡, 고개마루 철제 계단 오르기 전에 오른쪽으로 10m가면 절개지에서 식수 ) - 피앗재(좌측 계곡, 계절에 따른 거리 예측 불가) - 천황샘(천황봉 정상전 20분거리 우측, 계절에 따라 양 이 다름) - 신선대(간이매점) - 문장대휴게소(식수판매,우측 샘터) - 늘재(좌측 10분거리 청화산휴게소)늘재에서 귀빈래 마을쪽으로 100m 정도 내려오면 청화산농원 저온저장고가 있으며 저온저장고 옆에 식수가 있다 - 갓바위재(우측 5분거리, 찾 기 어려움) -고모치안부(길에서우측 30M 물 많고 좋음,파이프)『고모샘 석간수』라는 안내판이 걸려있다 - 밀재(밀재 우측 가은 용추계곡 방향의 등산로를 따라 2분 정도 내려가면 계곡수) - 버리미기재(버리미기재 바로 옆 장성봉에서 내려오는 좌측 계곡수) - 은치재(우측 5분거리) - 지름티재(지름티재에서 좌측 은티마을 등산로를 따라 10분정도 내려가면 등산로변에 계곡수) - 시루봉 정상전(좌측 계곡, 계절에 따라 다름) - 이화령(휴게소) - 이화령에서 30분거리 조령샘(야영적합,물 풍부) - 조령3관문(조령약수,물 좋음) - 하늘재( 하늘산장 마당에 수도/조령산쪽에서 하늘재 3분전,파이프물 콸콸) - 하늘재 출발후 하늘샘(하늘재에서 포암산 대간길을 8분정도 오르면 등산로변) - 눈물샘( 야영적합,갈림길에는 우측으로 내리막 급경사에 눈물샘,대미산 지나 20분거리 우측 100m) - 차갓재(좌측 10분거리, 계절에 따라 양이 다름/안생달 마을로 15분거리에 계곡물 풍부/우측 안생달마을 한백주 제조하는 집 마당 수도,30분) - 벌재(등산로옆 옹벽위 샘물 풍부, 5분거리 황장약수터) - 저수령휴게소 주방(인심 좋음, 음식점 주방에 수도) - 죽령(특산물 판매점 주방 및 공중화장실 옆 수도) - 천문대 쉼터10분전 - 주목관리소(관리소를 등지고 11시 방향의 철문아래 5분거리, 주목군락지) - 고치령(좌측 2분거리,샘물 좋음) - 마구령(좌측 10분거리, 계곡물 풍부) - 박달령(헬기장에서 서쪽으로 50M,고인물이나 그런대로 먹을 만함)


      박달령 (식수는 아주 양호함 수량많고 잘 나오고 있습니다.) - 도래기재 (내려서면 도래기재에서 영월방향으로 약 200미터가면 산계곡에서 많은 물이 나와 도로 다리밑에서 알탕하기 그지그만입니다) - 곰넘이재 (남쪽 임도따라 30분 계곡 수량풍부...너무 멀다) - 차돌배기.(산죽우거진 왼쪽 골짜기에 샘...비교적 수량풍부) - 1174봉 (차돌배기서 50분 소요) 우회하여 10분 더가서...좌로 50m 수평으로 따라가면 물많은 골짜기) - 태백산 (정상 아래 망경사) - 유일사 - 화방재 (어평재휴게소) - 만항재.(간이매점 바깥 땅속에 묻은 통에 물 잇슴) - 중함백 지나 40분 제2쉼터.(넓은 옹달샘에 바가지와 디딜판 있음) -싸리재 간이 매점. -피재 간이 매점. -장암재...약수터 500m표지판...환선굴쪽 방향.

      -광동댐 이주단지(한참 내려 가야 하니 너무 멀다) - 댓재(가게) - 청옥산 샘터(청옥산 직전 2분전 120보...물좋음 맛좋고 깨끗함.스텐레스 관) - 이기령 (철탑 20분전 임도에서 붉은 노송있는 가시밭길 30m나가서 우측 5m 지점 골짜기 물) -원방재(임도 왼쪽 계곡 수량풍부) - 백봉령(간이 대형 포장마차 수도 파이프에 물이 콸콸) - 한라시맨트 공사장에서 대간초입 임도 들머리에 파이프물이 콸콸. - 삽당령(할머니 포장마차 뒤 물) -소기동 갈림길에서 40분 걸리는 1006봉 앞 좌측5m 골짜기 물. - 닭목령...창고앞 수도꼭지 파손됨...좌측 민가로 가서 물구함...20분 정도 소요. - 왕산골 갈림길에서 20분 더 진행하면 100m 샘터 표시 잇슴. - 대관령 전 제왕산 갈림 임도...세개의 돌호랑이 주둥이에 물콸콸...대관령에 물없으니 미리 보충. - 국사 성황당내...큰 집안 주방에 물뜰 수 있다...주민들도 뜨러옴...물 맛은 별로다. - 소황병산 오름길 입구 골짜기. - 노인봉 산장...샘터...물맛이 별로다.안 좋다. - 진고개 휴게소(지하 화장실 물맛 아주 좋다...아침 일찍이나 저녁 늦게는 문 닫음, 비박 적정) -구룡령...휴게소내 식당 수도꼭지. (비박 적정)

      -왕승골 갈림길...좌로 100m에 샘과 계곡. - 연가리골 갈림길...좌로100m - 윗황이로 가는 갈림길 ... 좌로100m - 조침령...계곡 멀다. - 단목령...좌로 50m 큰 계곡...수량풍부. (비박 적정) - 한계령휴게소. - 중청대피소 - 회운각 - 마등령...좌로 300m계곡과 샘. - 미시령휴게소 - 상봉 전 샘터(.물 수량 적고 컵 잇슴) - 대간령...좌측으로 한참가면 계곡. - 진부령...슈퍼앞 수도꼭지.

       
      거리 및 산경표
      남진 1 구간 설악산권
      진부령-5.75-마산-3.55-대간령-2.85-신선봉-3.45-미시령
      8.07Km 1,456m 6.12Km 1,188m 13.78Km 15.60Km 15.6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5.60Km  
      남진 2 구간 설악산권
      미시령-2.5-1318봉-1.65-황철봉-4.35-마등령
      5.63Km 1,168m 3.86Km 676m 9.23Km 8.50Km 24.10Km
      설악산(매표소)-3.0-비선대-3.8-마등령 6.80Km 무박
      15.30Km  
      남진 3 구간 설악산권
      마등령-2.1-1275봉-3.1-회운각-1.9-대청봉-1.75-끝청-4.05-서북능삼거리-2.33-한계령
      6.89Km 1,218m 7.51Km 1,513m 13.99Km 15.23Km 39.33Km
      마등령-3.8-비선대-3.0-설악산(매표소) 6.80Km 무박
      22.03Km  
      남진 4 구간 설악산권
      한계령-5.65-망대암산-1.4-점봉산-오색삼거리-4.5-단목령-3.1-북암령-7.25-조침령
      10.87Km 1,544m 12.50Km 1,686m 23.01Km 23.90Km 63.23Km
      서림-5.0-조침령 5.00Km 무박
      28.90Km  
      남진 5 구간 설악산권
      조침령-4.65-쇠나드리-12.4-갈전곡봉-4.2-구룡령
      9.73Km 1,650m 10.95Km 1,411m 20.33Km 21.25Km 84.48Km
      조침령-5.0-서림 5.00Km 무박
      26.25Km  
      남진 6 구간 설악산권
      구룡령-6.8-응복산-8.15-두로봉-6.95-동대산-1.6-진고개
      11.23Km 1,852m 11.71Km 1,845m 22.49Km 23.50Km 107.9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3.50Km  
      남진 7 구간 오대산권
      진고개-3.85-노인봉-3.7-소황병산-5.1-매봉-4.25-곤신봉-3.25-선자령-5.65-대관령
      11.44Km 1,168m 13.92Km 1,312m 25.16Km 25.80Km 133.7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5.80Km  
      남진 8 구간 오대산권
      대관령-1.8-능경봉-11.15-닭목재-1.95-화란봉-5.4-석두동-6.8-삽당령
      12.43Km 1,671m 14.96Km 2,154m 26.77Km 27.10Km 160.8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7.10Km  
      남진 9 구간 오대산권
      삽당령-6.3-석병산-8.92-헬기장-3.28-백복령
      9.97Km 1,356m 8.10Km 1,272m 17.76Km 18.50Km 179.3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8.50Km  
      남진 10 구간 태백산권/오대산권
      백복령-9.4-상월산-1.6-이기령-6.25-고적대-2.2청옥산-3.35-두타산-6.3-댓재
      14.15Km 2,481m 13.96Km 2,249m 27.33Km 29.10Km 208.4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9.10Km  
      남진 11 구간 태백산권
      댓재-1.5-황장산-4.7-광동댐 이주단지-5.5-덕항산-8.0-건의령-6.4-피재
      13.90Km 1,998m 11.93Km 1,871m 25.39Km 26.10Km 234.5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6.10Km  
      남진 12 구간 태백산권
      피재-2.55-매봉-6.0-금대봉-1.2-싸리재-5.4-함백산-2.85-만항재-3.45-화방재
      12.11Km 1,797m 9.47Km 1,783m 21.01Km 21.45Km 256.03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1.45Km  
      남진 13 구간 태백산권
      화방재-4.5-태백산-3.93-깃대배기봉-5.35-신선봉-4.96-구룡산-5.46-도래기재
      12.20Km 2,252m 13.19Km 2,208m 24.58Km 24.20Km 280.23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20Km  
      남진 14 구간 태백산권
      도래기재-2.6-옥돌봉-3.0-박달령-5.1-선달산-1.77-늦은목이-1.03-갈곶산-4.9-마구령-7.6-고치령
      14.33Km 2,325m 12.08Km 2,338m 25.64Km 26.00Km 306.23Km
      좌석리-4.0-고치령 4.00Km 무박
      30.00Km  
      남진 15 구간 소백산권
      고치령-2.8-마당치-8.27-국망봉-3.08-비로봉-4.43-천문대-6.25-죽령
      12.31Km 2,018m 13.18Km 2,074m 24.94Km 24.83Km 331.06Km
      고치령-4.0-좌석리 4.00Km 무박
      28.83Km  
      남진 16 구간 소백산권
      죽령-5.8-도솔봉-1.7-묘적봉-1.05-묘적령-4.05-뱀재-2.6-싸리재-1.0-배재-3.98-저수령-6.06-벌재
      12.54Km 2,424m 12.68Km 2,487m 24.50Km 26.24Km 357.3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6.24Km  
      남진 17 구간 소백산권
      벌재-4.56-황장재-0.92-황장산-2.6-차갓재-5.9-대미산-1.35-버리기재-7.6-만수봉 갈림길-2.82-포암산-1.35-하늘재
      12.39Km 2,478m 13.80Km 2,578m 25.43Km 27.10Km 384.4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7.10Km  
      남진 18 구간 소백산권
      하늘재-1.82-울항삼봉-1.75-주흘산 갈림길-1.5-동암문-3.41-마폐봉-0.91-조령3관문-1.0-깃대봉-5.1-조령산-0.75-조령샘-2.12-이화령
      8.31Km 2,071m 9.10Km 2,008m 16.68Km 18.36Km 402.76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8.36Km  
      남진 19 구간 속리산권
      이화령-1.53-조봉-3.9-황학산-1.85-백화산-1.45-평전치-2.46-사다리재-1.1-이만봉-2.26--배너미평전
      8.08Km 1,023m 5.82Km 762m 13.72Km 14.55Km 417.31Km
      은티마을-2.9-배너미평전 2.90Km 당일
      17.45Km  
      남진 20 구간 속리산권
      배너미평전-2.28-희양산-1.38-지름치재-2.75-은치재-2.16-악희봉-5.35-장성봉-1.97-버리미기재
      6.39Km 1,271m 7.64Km 1,625m 13.54Km 15.89Km 433.20Km
      배너미평전-2.9-은티마을 2.90Km 당일
      18.79Km  
      남진 21 구간 속리산권
      버리미기재-4.55-대야산-1.25-밀재-4.35-조항산-1.15-갓바위재-3.7-청화산-2.49-늘재
      7.61Km 1,540m 7.92Km 1,639m 15.00Km 17.49Km 450.69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7.49Km  
      남진 22 구간 속리산권
      늘재-3.3-밤티재-4.45-문장대-1.17-신선대-2.58-천황봉-5.66-피앗재-1.56-형재봉-0.7-갈령삼거리
      9.82Km 1,408m 6.45Km 1,084m 15.96Km 19.42Km 470.11Km
      갈령-1.2-갈령삼거리 1.20Km 당일
      20.62Km  
      남진 23 구간 속리산권
      갈령삼거리-4.15-비재-3.85-봉황산-1.45-산불감시초소-3.26-화령재-1.87-윤지미산-4.41-무지개산-4.27-신의터재
      10.28Km 1,248m 12.42Km 1,692m 22.38Km 23.26Km 493.37Km
      갈령삼거리-1.2-갈령 1.20Km 무박
      24.46Km  
      남진 24 구간 속리산권
      신의터재-4.55-지기재-2.7-개머리재-4.7-백학산-6.87-개터재-5.65-큰재
      11.27Km 1,255m 12.24Km 1,188m 23.29Km 24.47Km 517.84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47Km  
      남진 25 구간 덕유산권
      큰재-3.18-국수봉-2.47-용문산-5.13-작점고개-2.05-묘함산 갈림길-4.19-502봉-2.65-추풍령
      8.94Km 1,189m 8.67Km 1,290m 17.38Km 19.67Km 537.51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9.67Km  
      남진 26 구간 덕유산권
      추풍령-3.61-눌이산-3.03-가성산-4.25-궤방령-5.55-황악산-2.85-바람재-4.45-질매재
      12.18Km 2,122m 10.68Km 1,600m 22.38Km 23.74Km 561.25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3.74Km  
      남진 27 구간 덕유산권
      질매재-3.55-화주봉-6.78-심미걸재-0.72-삼도봉-8.2-부항령-5.3-덕산재
      11.71Km 1,719m 11.73Km 1,766m 23.00Km 24.55Km 585.8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55Km  
      남진 28 구간 덕유산권
      덕산재-3.05-대덕산-1.45-삼도봉-3.25-소사고개-3.1-삼봉산-4.35-빼재
      6.53Km 1,464m 8.02Km 1,150m 14.18Km 15.20Km 601.0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5.20Km  
      남진 29 구간 덕유산권
      빼재-3.96-대봉-1.11-달음재-1.2-지봉-0.51-싸리덤재-1.15-횡경재-0.34-귀봉-2.75-백암봉-2.2-동엽령
      7.59Km 1,180m 5.96Km 818m 13.30Km 13.22Km 614.22Km
      자연학습원-4.25-동엽령 4.25Km 당일
      17.47Km  
      남진 30 구간 덕유산권
      동엽령-4.1-무룡산-2.68-삿갓골재-4.15-남덕유산-1.3-장수덕유산-1.85-헬기장-2.95-할미봉-2.28-육십령
      7.90Km 1,264m 10.83Km 1,857m 18.30Km 19.31Km 633.53Km
      동엽령-4.25-자연학습원 4.25Km 무박
      23.56Km  
      남진 31 구간 덕유산권
      육십령-3.07-깃대봉-3.6-977봉-1.7-큰바위전망대-2.9-영취산-3.45-백운산-2.55-중고개재-1.8-중재
      10.15Km 1,154m 8.85Km 1,196m 18.75Km 19.07Km 652.60Km
      운산리-1.75-중재 1.75Km 무박
      20.82Km  
      남진 32 구간 지리산권
      중재-7.73-봉화산-4.11-복성이재-3.38-시리봉-1.4-새맥이재-2.93-88도로(사치재)
      8.86Km 1,223m 9.78Km 1,379m 18.34Km 19.55Km 672.15Km
      지리산휴게소-0.75-88도로, 중재-1.75-운산리 2.50Km 무박
      22.05Km  
      남진 33 구간 지리산권
      사치재-3.3-매요리-5.0-고남산-5.47-여원재
      6.00Km 791m 7.07Km 800m 12.88Km 13.77Km 685.92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3.77Km  
      남진 34 구간 지리산권
      여원재-6.75-주촌리-2.15-고촌리-3.4-고리봉-0.9-정령치-만복대-5.2-성삼재
      11.86Km 1,792m 8.17Km 1,189m 19.63Km 20.60Km 706.52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0.60Km  
      남진 35 구간 지리산권
      성삼재-3.5-노고단-2.23-돼지평전-1.05-임걸령-2.15-삼도봉-0.75-화개재-1.25-토끼봉-2.94-연하천-2.05-형제봉 -1.3-벽소령-2.55-선비샘-1.5-칠선봉-2.0-세석산장-0.6-촛대봉-1.86-연하봉-0.8-장터목산장-1.6-천왕봉
      16.69Km 2,027m 11.36Km 1,191m 27.72Km 28.13Km 734.65Km
      중산리(매표소)-3.25-법계사-1.98-천왕봉 5.23Km 1박2일
      33.36Km  
      360.36Km 56,597m 352.63Km 54,879m 697.76Km 734.65Km 734.65Km
      접속구간 15회 57.78Km 54일 소요
      792.43Km  
       

      백두대간 마루 금과 관련된 '출입금지구역' 용어와 지도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발표하는

      '출입금지 구역'에 대한 용어들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정리.

      (2007년 1월 현재 기준하였음)

       

       1)자연휴식년제

       2)특별보호구

       3)비지정 등산로(탐방로)

       4)샛길

       

       상기 모두 출입금지.

       백두대간 마루금과 관련된 부분만 정리하였으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히지 마시고 아래의 구간만 참조하시면 됩니다.

       지도는 공단 페이지에 있는 것 사용했음...

       공단 홈페이지/탐방정보/탐방길라잡이/알고갑시다/탐방로(백두대간)안내...에 있음.

       

       1.자연휴식년제  :

                                오대산 국립공원 : 진고개~동대산 구간

       2.특별보호구 :

        국립공원 관리공단  발표 내용 

        '...동 제도는 국립공원내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등 주요 자원의 보호를 위해

         기존 자연휴식년제를 개선 보완한 제도이며,  ‘06. 1. 1일 시행한

         제6기 자연휴식년제는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포함하여 시행.'
        
      (즉, 자연휴식년제와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음)

            설악산 국립공원

            1)점봉산 일원

            2)마등령~미시령 일원

        3.비지정 등산로(탐방로) :

       '...자연생태계 보전 및 탐방객 안전을 위하여 고시한 탐방로가 아닌 구간. 중략'

        (공단 측은 이렇게 설명하지만 지극히 책임 면피성을 위한 구간으로 보면 됩니다.

        쉽게 얘기하면, 암릉 구간 등에서 안전사고라도 발생했을 때 안전시설 미비 등과

        같은 여론 질책을 피하려는 것이 주목적인 듯...)

       1).속리산 국립공원 :

        (1)문장대~밤티재~늘재 (암릉 구간 많음)

        (2)밀재~대야산~버리미기재~장성봉~악휘봉(암릉 구간 많음)

       

       2).월악산 국립공원 :

        (1)마폐봉(마역봉)~하늘재
        (2)마골치(포함산 지나 만수봉 갈림길)~대미산~차갓재~황장산(암릉 조금)~벌재

       

      3).소백산 국립공원 :

       묘적령~도솔봉(계단 정비 끝난 길인데도 불구하고 아직 비지정 등산로임)

       

      4).오대산 국립공원:

        (1)매봉(동해전망대 조금 지난 봉우리)~노인봉

        (2)진고개~동대산(자연휴식년제)

        (3)두로봉~신배령~1210봉(만월봉 전)

       

      5).설악산 국립공원 :

        (1)875봉~단목령~점봉산~한계령 : 특별보호구

        (2)희운각~대청봉

            (죽음의 계곡 능선길을 말하며,보통 중청~소청~희운각의 우회길을 이용하면 됨)

        (3)마등령~미시령~상봉~대간령 : 특별보호구


       

      <북한 쪽 백두대간, 지도 위에서 걷는다>는 시인 이향지의 북한쪽 백두대간 가상 종주기다.

      ''눈으로 보고 발로 걸을 수 없는 산을 지형도만 보고 가상 산행을 했다.

      이 일은 현미경과 망원경, 몽상과 과학을 동시에 필요로 했다.

      그러나 시인조차 꿈꾸지 않는다면 세계를 어찌 바꾸겠나''

      저자는 북한쪽 백두대간은 모두 33구간으로 나눠 구간마다의 도상거리와 실제거리, 산행시간뿐만 아니라

      어느 지점에 산비탈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경고를 실었다. 마치 눈으로 본 듯하다.

      여기에 조선시대 지명과 현재 북한의 지명에 대한 비교, 각 고장의 역사와 풍물까지 곁들였다.

        

      1구간. 나와 함께 이 길을 걷고 싶을 사람들에게
       진부령∼칠절봉∼향로봉 분기점∼고성재∼삼재령(남한 쪽 마지막 구간)


      2구간.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베고 누웠으니 
       삼재령∼무산∼새덕현∼국사봉∼외무재령(북한 쪽 첫 구간)


      3구간.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이 무너지지않는 까닭은?
       외무재령∼내무재령∼금강산 비로봉∼상등봉∼온정령


      4구간. 금강산은 까딱도 않는데 너만 바쁘구나
       금강산 온정령∼오봉산∼사령∼매산∼널막령


      5구간. 다락밭 콩잎 위에 후둑이는 빗소리
       널막령∼고윤산∼추지형∼우동산∼손오개∼법배령


      6구간.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법배령∼도납령∼박달령∼연대봉∼철령


      7구간. '철령 높은 봉에 쉬어 넘는 저구름아'
       철령∼고직령∼풍류산∼청하산∼학미현


      8구간. 삼방협곡을 가로지르지 않고 우회하는 까닭은?
       학미현∼백등령∼성산∼허목현∼마상산


      9구간. 동해로 흐르는 강물과 서해로 흐르는 강물 사이에서
       마상산∼설운령∼추에산∼봉수령∼저두봉∼천령


      10구간. 삭풍 흐르는 하늘가엔 기러기 떼날고
       천령∼백암산∼노인치∼성재산∼복회령∼마식령


      11구간.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
       마식령∼갈현∼명우래령∼다락산∼두류산∼회동현


      12구간. 길에 취하고 길에 흘렸다. 우리는 이 맛에 걷는다
       회동현∼신재령∼재령산∼기린령∼박달령∼거차령


      13구간. 산이 높고 깊어질수록 마을은 멀어지나니
       가차령∼평산덕산∼맹령∼함지령∼운령∼백두산


      14구간. 눈 속에 서서 마시는 더운 물 한잔의 행복
       백두산∼백산∼미산령∼장포령∼운봉∼거산령


      15구간. 철옹성 찾아가서! 산새가 운다!
       거산령∼상수포분기점∼자작령∼철옹산∼분령∼철옹성


      16구간. 백두대간을 타는 사람들, 그 땀과 끈기, 꽃보다 아름다워라
       철옹성∼용풍산∼망경대령∼성전고개∼마유령


      17구간. 기억하라, 우리가 왜 이 길을 걷는가를
       마유령∼백산∼모도봉∼모도령∼사수산∼향로봉∼(하)검산령


      18구간. 모든 강물의 끝에는 바다가 있고, 모든 강물의 시작에는 산이 있다네!
       (하)검산령∼백산∼차일봉∼유동령∼(상)검산령


      19구간. 장진고원의 밤하늘, 별이 한층 가깝다
       (상)검산령∼노란봉∼(청남·청북)정맥 분기점∼마대산∼황초령


      20구간.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주인공들
       황초령∼매봉분기점∼고대산∼백암산∼부전령


      21구간.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의 용마루를 타며
       부전령∼(구)부전령∼백역산∼명당봉∼불개미재


      22구간. 고원의 집시, 화전민들을 생각하며
       불개미재∼금패령∼배재산∼희사봉 분기점∼통팔령


      23구간. 풍산개와 북청 물장수
       통팔령∼삼봉∼용수동령∼남산봉∼곽개령∼후치령


      24구간. 내 한 걸음 한 걸음이 나무 한 그루씩이라면
       후치령∼추동산∼엄방골령∼두운봉∼희사봉∼조가령


      25구간. 덕! 보! 파! 기! 봉수!
       조가령∼봉수봉분기점∼황토령∼시루봉분기점∼흰새봉∼까치령


      26구간. 상상 속의 길들이 실체를 드러내며 다가오는 기쁨에
       까치령∼남대령∼안장령∼동점령산∼동점령


      27구간. 해는 저물었으나 길은 아직 남았다
       동점령∼화동령∼대각봉∼백암령∼남설령


      28구간. 장백정간을 동해로 보내고, 백무고원에 빠지다
       남설령∼장백정간분기점∼백사봉∼황봉∼큰골령


      29구간. 두만강, 그 시작과 끝을 생각한다
       큰골령∼1,715m봉∼아무산∼장하봉∼최가령


      30구간. 물·불·흙·바람, 그리고 늙은 산맥에 대하여
       최가령∼1,928m봉∼백사봉∼복설령


      31구간. 압록강, 그 시작과 끝을 생각한다
       북설령∼북포태산∼1,933m봉∼허항령


      32구간. 천리천평무인경 옛 말을 �고, 소백산 간백산 들쭉열매 맛에 빠지다
       허항령∼소백산∼간백산∼선오산


      33구간. 아, 나는 드디어 도착했구나!
       선오산∼대연지봉∼백두산 장군봉

      「북한 쪽 백두대간, 지도 위에서 걷는다」를 끝내며
       백두대간은 한 줄기, 백두대간이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