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의 주요산과 봉우리 ink="purple" alink="red">
순서 |
지 명 |
고도(m) |
위 치 |
현 황 |
1 |
마 산 |
1,052 |
강원도 고성군 |
풍속계측기가 있음(높이 5∼10m, 넓이5평), 방치된 군부대 건물 |
2 |
신 선 봉 |
1,204 |
" , 인제군 |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
3 |
※ 황 철 봉 |
1,381 |
강원도 인제군, 속초시 |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
4 |
※ 대 청 봉 |
1,708 |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 |
기념비석과 안내판,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에 대피소가 있음 |
5 |
※ 망대암산 |
1,236 |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정상주변은 바위지대로 위험지역 |
6 |
※ 점 봉 산 |
1,424 |
〃 |
이정표, 정상표시석 |
7 |
갈전곡봉 |
1,204 |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 |
정상부 너른터 |
8 |
약 수 봉 |
1,306 |
강원도 홍천군, 양양군 |
|
9 |
응 복 산 |
1,360 |
〃 |
|
10 |
※ 두 로 봉 |
1,422 |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강릉시 |
오대산국립공원, 이정표와 동부지방산림관리청 안내판 |
11 |
※ 동 대 산 |
1,434 |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
산불감시초소, 천연보호림지시석, 국립공원이정표, 정상에 헬기장 |
12 |
※ 노 인 봉 |
1,338 |
〃 |
정상 바로 밑에 산장, 이정표 있음 |
13 |
※ 소황병산 |
1,338 |
〃 |
정상 표시석, 안내판, 정상은 초지(목장) |
14 |
※ 매 봉 |
1,173 |
〃 |
목장, 기상관측시설 |
15 |
능 경 봉 |
1,123 |
〃 |
|
16 |
고루포기산 |
1,238 |
〃 |
정상 남쪽에 고랭지 채소 재배단지, 송전철탑 |
17 |
화 란 봉 |
1,069 |
강원도 강릉시 |
|
18 |
석 두 봉 |
991 |
〃 |
정상 바위지대 |
19 |
두 리 봉 |
1,033 |
강원도 정선군, 강릉시 |
|
20 |
석 병 산 |
1,055 |
〃 |
정상 바로밑 헬기장 |
21 |
자 병 산 |
873 |
〃 |
한라시멘트 석회광산 |
22 |
상 월 산 |
970 |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
헬기장 |
23 |
고 적 대 |
1,354 |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삼척시 |
정상표시석, 동부지방산림관리청 경고판 |
24 |
청 옥 산 |
1,404 |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
정상은 50평 규모의 너른 터 |
25 |
두 타 산 |
1,353 |
〃 |
기념비석, 헬기장 |
26 |
덕 항 산 |
1,071 |
강원도 삼척시, 태백시 |
산불감시탑 |
27 |
매 봉 산 |
1,303 |
강원도 태백시 |
산 전체가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낙동정맥 분기점 |
28 |
함 백 산 |
1,573 |
강원도 태백시, 정선군 |
정상에 KBS중계소와 군부대, 폐광된탄광, 도로망이 얽혀있음 |
29 |
태 백 산 |
1,567 |
강원도 태백시 |
도립공원, 정상에 천제단, 헬기장, 기념비석, 기상측후시설이 있음 |
30 |
구 룡 산 |
1,346 |
강원도 영월군, 경북 봉화군 |
헬기장, 산불방화선 |
31 |
옥 돌 봉 |
1,242 |
경상북도 봉화군 |
헬기장 |
32 |
선 달 산 |
1,236 |
강원도 영월군, 경북 영주시, 봉화군 |
헬기장 |
33 |
※ 국 망 봉 |
1,421 |
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 |
소백산국립공원, 이정표, 안내판 |
34 |
※ 소 백 산 |
1,440 |
〃 |
정상기념비석, 안내판, 이정표, 정상 밑에는 무인대피소 |
35 |
※ 도 솔 봉 |
1,314 |
〃 |
이정표와 헬기장 |
36 |
※ 황 정 산 |
1,078 |
경상북도 문경시 |
월악산국립공원, 헬기장, 정상 표지목 |
37 |
※ 대 미 산 |
1,115 |
충북 제천시, 경북 문경시 |
돌탑과 기념비석 |
38 |
※ 포 암 산 |
962 |
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 |
돌탑과 기념비석 |
39 |
※ 마 폐 봉 |
927 |
〃 |
이정표, 기념비석 |
40 |
조 령 산 |
1,025 |
〃 |
돌탑, 표지석, 문경새재도립공원 |
41 |
백 화 산 |
1,064 |
〃 |
기념비석 |
42 |
회 양 산 |
998 |
〃 |
바위지대 |
43 |
※ 장 성 봉 |
915 |
경상북도 문경시 |
정상 표시목 |
44 |
※ 대 야 산 |
931 |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
기념비석, 정상 표시목 |
45 |
조 항 산 |
951 |
〃 |
정상 표시목 |
46 |
청 화 산 |
984 |
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상주시 |
정상 표시목 |
47 |
※ 문 장 대 |
1,029 |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 |
경찰통신중계소, 이정표, 헬기장, 전망대 |
48 |
※ 천 황 봉 |
1,058 |
〃 |
국립공원 안내판, 정상기념비석, 한남금북정맥분기점 |
49 |
※ 형 제 봉 |
803 |
〃 |
정상표시목 |
50 |
봉 황 산 |
741 |
경상북도 상주시 |
정상표시목 |
51 |
백 학 산 |
615 |
〃 |
제단과 태극기 있음 |
52 |
국 수 봉 |
793 |
충북 영동군, 경북 상주시 |
돌탑, 제단 |
53 |
묘 함 산 |
733 |
경북 김천시, 충북 영동군 |
통신중계소, 도로 |
54 |
눌 의 산 |
743 |
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 |
헬기장 |
55 |
가 성 산 |
720 |
〃 |
〃 |
56 |
황 학 산 |
1,111 |
〃 |
헬기장, 정상기념비석 |
57 |
삼 도 봉 |
1,177 |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
정상에 대형 기념탑, 헬기장, 이정표 |
58 |
대 덕 산 |
1,290 |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 |
헬기장 |
59 |
삼 봉 산 |
1,254 |
전북 무주군, 경남 거창군 |
정상에 기념비석 |
60 |
※ 무 룡 산 |
1,492 |
〃 |
덕유산국립공원, 헬기장, 이정표 |
61 |
※ 남덕유산 |
1,507 |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거창군 |
국립공원 이정표 |
62 |
※ 남덕 유서봉 |
1,500 |
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
헬기장 |
63 |
깃 대 봉 |
1,015 |
〃 |
정상부 초지 |
64 |
영 취 산 |
1,076 |
〃 |
호남정맥의 분기점 |
65 |
백 운 산 |
1,279 |
〃 |
헬기장, 기념비석 |
66 |
월 경 산 |
980 |
경남 함양군, 전북 장수군 |
|
67 |
봉 화 산 |
920 |
전북 장수군, 남원시 |
정상은 초지, 임도, 헬기장 있음 |
68 |
고 남 산 |
846 |
전북 남원시 |
이동통신 중계소, 헬기장, 도로있음 |
69 |
수 정 봉 |
805 |
〃 |
성터흔적이 있음 |
70 |
※ 고 리 봉 |
1,305 |
〃 |
태양열 연구시설, 이정표 |
71 |
※ 만 복 대 |
1,433 |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
돌탑, 고산초지, 이정표 있음 |
72 |
※ 노 고 단 |
1,507 |
전남 구례군 |
KBS중계소, 산장, 야영장 |
73 |
※ 반 야 봉 |
1,732 |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
|
74 |
※ 삼 도 봉 |
1,449 |
전북 남원시, 전남 구레군, 경남 하동군 |
이정표 |
75 |
※ 천 왕 봉 |
1,915 |
경남 함양군, 산청군 |
기념비석, 이정표, 헬기장 |
※는 국립공원에 포함된 산임
▶ 백두대간의 주요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
행 정 소 재 |
도 로 현 황 |
진 부 령 |
고성군 간성읍-인제군 북면 |
2차선포장, 46번국도,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
미 시 령 |
고성군 토성면-인제군 북면 |
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
※ 한 계 령 |
인제군 북면-양양군 서면 |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설악산국립공원 |
※ 451번도로 |
인제군 인제읍-양양군 서면 |
2차선포장, 451번지방도, 설악산국립공원 |
조 침 령 |
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
구 룡 령 |
양양군 서면-홍천군 내면 |
2차선포장, 56번국도, 산림문화회관 |
※ 진 고 개 |
강릉시 연곡면 -평창군 도암면 |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오대산국립공원 |
대 관 령 |
강릉시 성산면 -평창군 도암면 |
4번영동고속도로, 휴게소, 기상관측소 |
닭 목 재 |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왕산리 |
2차선포장, 137번지방도, 농업용창고 있음 |
삽 당 령 |
강릉시 왕산면 송현리 -강릉시 |
2차선포장, 35번국도, 고개양쪽으로 임도가 나있음 |
백 복 령 |
정성군 임계면-동해시 |
2차선포장, 42번국도, 철탑, 통신중계탑 |
댓 재 |
삼척시 미로면-하장면 |
2차선포장, 424지방도, 소공원, 간이매점 |
한 의 령 |
삼척시 도계읍-하장면 |
비포장도로 노폭 10m, 산신각 |
피 재 |
태백시 적각동-황지동 |
2차선포장, 35번국도, 소공원, 간이매점 |
싸 리 재 |
태백시 화전동 -정선군 고한읍 |
2차선포장, 38번국도, 간이휴게소 |
화 방 재 |
영월군 상동읍-태백시 혈동 |
2차선포장, 31번국도, 휴게소 |
금 정 임 도 |
봉화군 춘양면, 고도 970m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
우구치 임도 |
봉화군 춘양면, 고도 900m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7m |
도래기재 |
봉화군 춘양면 |
봉화방면 2차선포장, 영월방면 비포장, 998번지방도 |
박 달 령 |
봉화군 물야면-춘양면 |
비포장도로, 노폭 8m, 헬기장, 산신각 |
※ 마 구 령 |
영주시 부석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소백산국립공원 |
※ 고 치 령 |
영주시 단산면 |
비포장도로, 헬기장, 산신각, 소백산국립공원 |
※ 죽 령 |
영주시 풍기읍 -단양군 대강면 |
2차선포장도로, 5번국도, 소백산국립공원, 휴게소 |
저 수 재 |
단양군 대강면 -영주시 상리면 |
2차선포장도로, 973번지방도, 휴게소, 주유소 |
벌 재 재 |
문경시 동로면 |
2차선포장도로, 975지방도, 월악산국립공원 |
※ 하 늘 재 |
문경시 문경읍 -충주시 상모면 |
비포장도로, 597번지방도, 노폭10m, 월악산국립공원 |
조 령 |
문경시 문경읍 -괴산군 영풍면 |
2차선포장도로, 문경새재 도립공원, 차량통행불가 |
이 화 령 |
문경시 문경읍 -괴산군 영풍면 |
2차선포장도로, 3번국도, 휴게소, 지하터널공사 |
※ 불란치재 |
문경시 가은읍 |
2차선포장도로, 913번지방도, 속리산 국립공원 |
▶백두대간의 주요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
행 정 소 재 |
도 로 현 황 |
눌 재 |
상주시 화북면 |
2차선포장도로, 992번지방도, 농업용 대형창고 |
※ 밤 티 재 |
상주시 화북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속리산국립공원 |
비 재 |
상주시 화남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
화 령 재 |
상주시 화서면 |
2차선포장도로, 25번국도, 공원 및 정자있음 |
신의터고개 |
상주시 화동면 |
2차선포장도로, 군도, 소공원 |
지 기 재 |
상주시 모동면 |
2차선포장도로, 군도 |
백학산임도 |
상주시 모동면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
윗왕실임도 |
상주시 공성면-외남면 |
비포장도로, 노폭 10m |
봉산리도로 |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
농업도로, 콘크리트포장, 노폭 10m |
큰 재 |
상주시 공성면 |
김천방면포장, 920번지방도, 인성초등분교(폐교) |
작점리도로 |
영동군 추풍령면-김천시 어순면 |
2차선포장도로, 지방도 |
추 풍 령 |
영동군-김천시 |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 4번국도, 면소재지 |
궤 방 령 |
영동군 매곡면-김천시 봉산면 |
2차선포장, 977지방도 |
질 매 재 |
영동군 상촌면-김천시 부항면 |
김천방면 2차선포장, 579지방도, 매일유업 목장 |
덕 산 재 |
무주군 무풍면-김천시 대덕면 |
2차선포장도로, 30번국도, 주유소, 휴게소 |
소 사 재 |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
무주방면 2차선포장도로, 1089지방도, 간이매점 |
신 풍 령 |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 |
2차선포장도로, 727지방도, 휴게소 |
육 십 령 |
장수군 장계면-함양군 서상면 |
2차선포장도로, 26번국도, 휴게소, 주차장 |
중고개재 |
장수군 번암면-함양군 백전면 |
비포장도로, 노폭 6m |
봉화산임도 |
장수군 번암면-아영면 |
임업도로, 노폭 7m |
복성이뒷재 |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
장수번암면 지방도, 남원 2차포장도, 장수 포장공사중 |
사 치 재 |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 |
88고속도로, 휴게소 |
유 치 |
장수군 번암면-남원시 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마을있음 |
여 원 재 |
남원시 이백면-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24번국도, 마을있음 |
고기리도로 |
남원시 주천면-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730번지방도, 휴게소 |
※ 정 령 치 |
남원시 주천면-산내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지리산 국립공원 |
※ 성 삼 재 |
구례군 산동면 |
2차선포장도로, 861지방도, 휴게소 |
※ 벽 소 령 |
함양군 마천면-하동군 화개면 |
비포장도로, 군사도로, 마천방면 소형트럭 이동 가능, 지리산국립공원 |
▶ 백두대간의 행정구역(진부령∼지리산)
도 |
시·군 |
읍 면 |
6개도 |
32개시·군 (12개시·20개군) |
99개읍면동 |
강원도 |
고성군 |
간성읍, 토성면 |
속초시 |
설악동 |
인제군 |
서화면. 북면. 인제읍. 기린면 |
양양군 |
서면 |
홍천군 |
내면 |
평창군 |
진부면. 도암면 |
강릉시 |
연곡면. 사천면. 성산면. 옥계면. 왕산면 |
정선군 |
임계면 |
동해시 |
삼화동 |
삼척시 |
미로면. 신기면. 도계읍. 하장면 |
태백시 |
혈동. 소도동. 황지동. 화전동. 적각동. 창죽동 |
경 북 |
봉화군 |
소천면. 신기면. 석포면. 물야면. 춘양면 |
강원도 |
영월군 |
고한읍. 상동읍. 하동면 |
경 북 |
영주시 |
부석면. 단산면. 순흥면. 풍기읍. 봉현면 |
충 북 |
단양군 |
영춘면. 가곡면. 단양읍. 대강면 |
경 북 |
예천군 |
상리면 |
충 북 |
제천시 |
한수면. 덕산면 |
경 북 |
문경시 |
동로면. 문경읍. 마성면. 가은읍. 농암면 |
충 북 |
충주시 |
상모면 |
충 북 |
괴산군 |
연풍면. 칠성면. 청천면 |
보은군 |
내속리면 |
경 북 |
상주시 |
내서면. 외남면. 화북·서·동·남면. 모서면. 모동면. 공성면 |
김천시 |
봉산면. 대항면. 구성면. 부항면. 대덕면. 어모면 |
충 북 |
영동군 |
매곡면. 추풍령면. 상촌면 |
전 북 |
무주군 |
설천면. 무풍면. 안성면 |
경 남 |
거창군 |
고제면. 북상면 |
전 북 |
장수군 |
계북면. 장계면. 번암면 |
남원시 |
아영면. 운봉읍. 이백면. 산동면. 주천면. 산내면 |
경 남 |
함양군 |
서상면. 백전면. 마천면 |
전 남 |
구례군 |
산동면. 광의면. 토지면. 마산면 |
경 남 |
산청군 |
시천면 |
하동군 |
화개면 |
※ 행정구역 순서는 백두대간 마루금(진부령→지리산) 기준임.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현황 o 총 괄 (단위 : 천ha)
구 분 |
개 소 |
총면적 |
산림편입면적 |
계 |
국 유 |
공 유 |
사 유 |
합 계 |
67 |
744 |
438 |
180 |
49 |
209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
20
20
27 |
647
73
24 |
351
66
21 |
171
7
2 |
40
4
5 |
140
55
14 |
※ 국립공원 647천ha : 육지 329천ha(51%), 해상 318천ha(49%)
※ 육상국립공원 95%가 산림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공 원 명 |
지정일자 |
지정면적 |
산림면적 |
% |
국유림 |
% |
계 7개 |
|
221,939 |
210,055 |
94.6 |
113,325 |
54.0 |
(5) 설악산 |
'70. 3. 24 |
37,300 |
35,520 |
95.2 |
29,276 |
82.4 |
(11) 오대산 |
'75. 2. 1 |
29,850 |
26,506 |
88.8 |
16,274 |
61.4 |
(18)소백산 |
'87.12. 14 |
32,050 |
30,049 |
93.8 |
23,066 |
76.8 |
(17)월악산 |
'84. 12. 31 |
28,450 |
26,237 |
92.2 |
5,844 |
22.3 |
(6) 속리산 |
'70. 3. 24 |
28,340 |
26,871 |
94.8 |
5,119 |
19.1 |
(10) 덕유산 |
'75. 2. 1 |
21,900 |
20,870 |
95.3 |
10,786 |
51.7 |
(1) 지리산 |
'67. 12. 29 |
44,049 |
44,002 |
99.9 |
22,960 |
52.2 |
계 2개(도립공원) |
|
2,274 |
2,202 |
96.8 |
1,386 |
62.9 |
(20)태백산 |
|
1,744 |
1,681 |
96.4 |
1,394 |
82.9 |
(16)문경새재 |
|
530 |
521 |
98.3 |
2 |
0.4 |
※ 1) 공원명 앞의 번호는 공원지정 순서임.
2) 국유림은 산림청소관 국유림이며, 산림면적중 국유림 비율임.
자료출처 : 산림청
백두대간 마루 금과 관련된 '출입금지구역' 용어와 지도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발표하는
'출입금지 구역'에 대한 용어들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정리.
(2007년 1월 현재 기준하였음)
1)자연휴식년제
2)특별보호구
3)비지정 등산로(탐방로)
4)샛길
상기 모두 출입금지.
백두대간 마루금과 관련된 부분만 정리하였으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히지 마시고 아래의 구간만 참조하시면 됩니다.
지도는 공단 페이지에 있는 것 사용했음...
공단 홈페이지/탐방정보/탐방길라잡이/알고갑시다/탐방로(백두대간)안내...에 있음.
1.자연휴식년제 :
오대산 국립공원 : 진고개~동대산 구간
2.특별보호구 :
국립공원 관리공단 발표 내용
'...동 제도는 국립공원내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등 주요 자원의 보호를 위해
기존 자연휴식년제를 개선 보완한 제도이며, ‘06. 1. 1일 시행한
제6기 자연휴식년제는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포함하여 시행.'
(즉, 자연휴식년제와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음)
설악산 국립공원
1)점봉산 일원
2)마등령~미시령 일원
3.비지정 등산로(탐방로) :
'...자연생태계 보전 및 탐방객 안전을 위하여 고시한 탐방로가 아닌 구간. 중략'
(공단 측은 이렇게 설명하지만 지극히 책임 면피성을 위한 구간으로 보면 됩니다.
쉽게 얘기하면, 암릉 구간 등에서 안전사고라도 발생했을 때 안전시설 미비 등과
같은 여론 질책을 피하려는 것이 주목적인 듯...)
1).속리산 국립공원 :
(1)문장대~밤티재~늘재 (암릉 구간 많음)
(2)밀재~대야산~버리미기재~장성봉~악휘봉(암릉 구간 많음)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16_12_16_12_040Zs_IMAGE_7_752.jpg%3Fthumb&filename=752.jpg)
2).월악산 국립공원 :
(1)마폐봉(마역봉)~하늘재
(2)마골치(포함산 지나 만수봉 갈림길)~대미산~차갓재~황장산(암릉 조금)~벌재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6_12_16_12_040Zs_IMAGE_7_738.jpg%3Fthumb&filename=738.jpg)
3).소백산 국립공원 :
묘적령~도솔봉(계단 정비 끝난 길인데도 불구하고 아직 비지정 등산로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6_12_16_12_040Zs_IMAGE_7_710.jpg%3Fthumb&filename=710.jpg)
4).오대산 국립공원:
(1)매봉(동해전망대 조금 지난 봉우리)~노인봉
(2)진고개~동대산(자연휴식년제)
(3)두로봉~신배령~1210봉(만월봉 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16_12_16_12_040Zs_IMAGE_7_744.jpg%3Fthumb&filename=744.jpg)
5).설악산 국립공원 :
(1)875봉~단목령~점봉산~한계령 : 특별보호구
(2)희운각~대청봉
(죽음의 계곡 능선길을 말하며,보통 중청~소청~희운각의 우회길을 이용하면 됨)
(3)마등령~미시령~상봉~대간령 : 특별보호구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16_12_16_12_040Zs_IMAGE_7_745.jpg%3Fthumb&filename=745.jpg)
<북한 쪽 백두대간, 지도 위에서 걷는다>는 시인 이향지의 북한쪽 백두대간 가상 종주기다.
''눈으로 보고 발로 걸을 수 없는 산을 지형도만 보고 가상 산행을 했다.
이 일은 현미경과 망원경, 몽상과 과학을 동시에 필요로 했다.
그러나 시인조차 꿈꾸지 않는다면 세계를 어찌 바꾸겠나''
저자는 북한쪽 백두대간은 모두 33구간으로 나눠 구간마다의 도상거리와 실제거리, 산행시간뿐만 아니라
어느 지점에 산비탈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경고를 실었다. 마치 눈으로 본 듯하다.
여기에 조선시대 지명과 현재 북한의 지명에 대한 비교, 각 고장의 역사와 풍물까지 곁들였다.
1구간. 나와 함께 이 길을 걷고 싶을 사람들에게
진부령∼칠절봉∼향로봉 분기점∼고성재∼삼재령(남한 쪽 마지막 구간)
2구간.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베고 누웠으니
삼재령∼무산∼새덕현∼국사봉∼외무재령(북한 쪽 첫 구간)
3구간.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이 무너지지않는 까닭은?
외무재령∼내무재령∼금강산 비로봉∼상등봉∼온정령
4구간. 금강산은 까딱도 않는데 너만 바쁘구나
금강산 온정령∼오봉산∼사령∼매산∼널막령
5구간. 다락밭 콩잎 위에 후둑이는 빗소리
널막령∼고윤산∼추지형∼우동산∼손오개∼법배령
6구간.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법배령∼도납령∼박달령∼연대봉∼철령
7구간. '철령 높은 봉에 쉬어 넘는 저구름아'
철령∼고직령∼풍류산∼청하산∼학미현
8구간. 삼방협곡을 가로지르지 않고 우회하는 까닭은?
학미현∼백등령∼성산∼허목현∼마상산
9구간. 동해로 흐르는 강물과 서해로 흐르는 강물 사이에서
마상산∼설운령∼추에산∼봉수령∼저두봉∼천령
10구간. 삭풍 흐르는 하늘가엔 기러기 떼날고
천령∼백암산∼노인치∼성재산∼복회령∼마식령
11구간.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
마식령∼갈현∼명우래령∼다락산∼두류산∼회동현
12구간. 길에 취하고 길에 흘렸다. 우리는 이 맛에 걷는다
회동현∼신재령∼재령산∼기린령∼박달령∼거차령
13구간. 산이 높고 깊어질수록 마을은 멀어지나니
가차령∼평산덕산∼맹령∼함지령∼운령∼백두산
14구간. 눈 속에 서서 마시는 더운 물 한잔의 행복
백두산∼백산∼미산령∼장포령∼운봉∼거산령
15구간. 철옹성 찾아가서! 산새가 운다!
거산령∼상수포분기점∼자작령∼철옹산∼분령∼철옹성
16구간. 백두대간을 타는 사람들, 그 땀과 끈기, 꽃보다 아름다워라
철옹성∼용풍산∼망경대령∼성전고개∼마유령
17구간. 기억하라, 우리가 왜 이 길을 걷는가를
마유령∼백산∼모도봉∼모도령∼사수산∼향로봉∼(하)검산령
18구간. 모든 강물의 끝에는 바다가 있고, 모든 강물의 시작에는 산이 있다네!
(하)검산령∼백산∼차일봉∼유동령∼(상)검산령
19구간. 장진고원의 밤하늘, 별이 한층 가깝다
(상)검산령∼노란봉∼(청남·청북)정맥 분기점∼마대산∼황초령
20구간.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주인공들
황초령∼매봉분기점∼고대산∼백암산∼부전령
21구간.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의 용마루를 타며
부전령∼(구)부전령∼백역산∼명당봉∼불개미재
22구간. 고원의 집시, 화전민들을 생각하며
불개미재∼금패령∼배재산∼희사봉 분기점∼통팔령
23구간. 풍산개와 북청 물장수
통팔령∼삼봉∼용수동령∼남산봉∼곽개령∼후치령
24구간. 내 한 걸음 한 걸음이 나무 한 그루씩이라면
후치령∼추동산∼엄방골령∼두운봉∼희사봉∼조가령
25구간. 덕! 보! 파! 기! 봉수!
조가령∼봉수봉분기점∼황토령∼시루봉분기점∼흰새봉∼까치령
26구간. 상상 속의 길들이 실체를 드러내며 다가오는 기쁨에
까치령∼남대령∼안장령∼동점령산∼동점령
27구간. 해는 저물었으나 길은 아직 남았다
동점령∼화동령∼대각봉∼백암령∼남설령
28구간. 장백정간을 동해로 보내고, 백무고원에 빠지다
남설령∼장백정간분기점∼백사봉∼황봉∼큰골령
29구간. 두만강, 그 시작과 끝을 생각한다
큰골령∼1,715m봉∼아무산∼장하봉∼최가령
30구간. 물·불·흙·바람, 그리고 늙은 산맥에 대하여
최가령∼1,928m봉∼백사봉∼복설령
31구간. 압록강, 그 시작과 끝을 생각한다
북설령∼북포태산∼1,933m봉∼허항령
32구간. 천리천평무인경 옛 말을 �고, 소백산 간백산 들쭉열매 맛에 빠지다
허항령∼소백산∼간백산∼선오산
33구간. 아, 나는 드디어 도착했구나!
선오산∼대연지봉∼백두산 장군봉
「북한 쪽 백두대간, 지도 위에서 걷는다」를 끝내며
백두대간은 한 줄기, 백두대간이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