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후원을 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돌고나니
12시가 가까워진다.
난 서울쥐의 안내에 따라 서둘러 인정전과 주변 궁궐을 돌아 보기로 했다.
조선의 4대 궁궐
창덕궁 [昌德宮]
사적 제122호. 1405년(태종 5)에 이궁(離宮)으로 조성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7년(선조 40)부터 다시 짓기 시작하여 1610년(광해군 2)에 완공되었다.
그러나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인정전(仁政殿)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 1647년에 다시 짓기 시작했다.
그후에도 크고 작은 화재가 있었으며,
특히 1833년(순조 33)의 큰 화재 때 대조전(大造殿)과 희정당(熙政堂)이 불탔으나 곧 다시 중건되었다.
1908년에 일본인들이 궁궐의 많은 부분을 변경했으며,
1917년에 큰 불이 나자 일제는 불탄 전각들을 복구한다는 명목 아래 경복궁의 수많은 전각들을 헐어내고는
이 가운데 극히 적은 재목들을 사용하여 창덕궁을 변형·복구했다.
이 궁궐은 창경궁과 이어져 있고, 뒤쪽에 후원이 조성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정궁은 경복궁이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뒤
1867년에 복원되었기 때문에 광해군 때부터 300여 년 간 정궁으로 사용되었다.
궁궐의 배치는 지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각들을 배치하여
조선시대 5대 궁궐 가운데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원래 정문인 돈화문을 들어서 북쪽으로 가다가 동쪽으로 꺽인 곳에는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흐르는 금천(禁川) 위에 금천교가 놓여 있고, 이 다리를 건너면 진선문(進善門)과
그 양옆에 월랑(月廊)이 있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이것을 모두 헐어버려 지금은 볼 수 없다.
인정문은 정전의 정문이며 그 양쪽에 있는 월랑은 'ㄷ'자형으로 인정전을 감싸고 있다.
ㄷ자형의 마당 안에는 인정문으로부터 시작된 어도(御道)가 있고,
그 북쪽 끝에 있는 중앙의 높은 월대 위에는 정전인 인정전이 자리잡고 있다.
인정전 월랑의 동북쪽에는 편전(便殿)인 선정전이 위치해 있다.
선정전의 주위에는 여러 행각이 있는데, 그 남쪽에 있던 여러 칸의 행각들은 일본인들이 모두 헐어버렸고,
뒤쪽에 있는 행각만 남아 있다.
동북쪽에는 희정당과 내전인 대조전 영역이 서남향으로 지세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다.
〈궁궐지〉에 희정당은 편전으로, 또 〈동궐도〉에는 중층 누각으로 되어 있어 현재의 모습과 다르다.
희정당으로부터 구름다리 모양의 행각이 북쪽으로 뻗어 희정당 자리보다 높게 자리잡은
대조전은 침전으로 장방형의 행각이 둘러싸고 있고,
이 뒤쪽으로는 아름다운 후정이 조성되어 있다.
대조전 영역의 동남쪽에 내의원이 있었던 자리에 지금은
낙선재(樂善齋), 승화루(承華樓), 백칸 안쪽에 이르는 행각들만 남아 있다.
창덕궁의 북쪽에 있는 넓은 터에는 금원(禁苑)이라고 부르던 후원이 있다.
현재 이 궁궐 안에는 건물 13동과 후원의 건물 28동 등 모두 41동의 건물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 인정전(국보 제225호)·돈화문(敦化門:보물 제385호)·
인정문(보물 제813호)·선정전(宣政殿:보물 제814호)·희정당(보물 제815호)·
대조전(보물 제816호)·선원전(璿源殿:보물 제817호) 등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백과사전 발췌]
창덕궁은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국보 제225호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국보 제225호. 평면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며, 중층이나 내부는 통층으로 되어 있다.
1405년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자 1610년에 중건했고,
1803년(순조 3)에 불탄 것을 다음해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대석으로 바른층쌓기한 2단의 월대 위에 다시 장대석 기단을 쌓고 다듬은 초석을 놓아 두리기둥을 세워
공포를 기둥 위와 기둥 사이의 평방 위에 짜놓은 다포식 건물이다.
바닥은 쪽마루이나 원래는 전을 깔아 마감한 전바닥이었으며, 순종 때 서양식 건축의 실내양식이 들어오면서
서양식의 커튼박스·전등시설·전등갓 등으로 장식되었다. 평면의 중앙 어칸 뒤쪽에는 어좌가 마련되어 있고
그 뒤로 일월오악병풍이 있다.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특히 중앙에 보개천장을 만들고 봉황새 1쌍을 그려 위엄을 더했다.
공포는 외3출목·내4출목으로 살미첨차의 바깥은 날카로운 앙서로 되어 있고,
안쪽은 구름 모양으로 초각되어 기둥 윗몸에 놓은 운공(雲工)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하층 축부의 중앙과 뒤쪽 중앙에 문짝을 달기 위해 문지방만을 놓았으나
나머지 모든 칸에는 소슬빗꽃살창을 달기 위해 높은 머름을 짜넣었다. 상층에는 교창만을 짜넣었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용마루와 합각마루는 양성을 했으며 용마루 양 끝에는 취두를,
합각마루와 추녀마루 끝에는 용두를 얹고, 추녀마루 위에는 잡상을 늘어놓아 장식했다.
특히 용마루에 5개의 이화무늬장[李花紋章]의 장식을 두었는데 이것은 1930년대에 일제가 설치한 것이다.
인정전과 인정문 사이의 공간에는 중앙이 높고 양쪽이 낮은 어도가 있고,
그 좌우에 18품의 품계석이 있으며 마당에는 넓고 얇은 돌을 깔아 마무리했다.
서울쥐와 처음으로 인정전 앞에서 인증샷을 찍어 봅니다.
서울 나들이 창덕궁 후원과 인정전을 구경하고 나니
배고 꼬르륵~ 소리가 난다.
서울쥐와 시골쥐는 서울쥐의 안내에 따라 북촌을 향해 다시 길을 나섰다.
'´″’´°³о♡ 국내산행 > 강원,경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나들이] 인물사진 Photo by 한산내기 (0) | 2014.10.15 |
---|---|
[서울 나들이] 북촌 한옥마을 (0) | 2014.10.15 |
[서울 고궁 나들이] 창덕궁 후원... 비밀의 문을 들어가다. (0) | 2014.10.13 |
[설악산] 설레임... 최고의 선물, 공룡능선의 장엄함에 빠지다. (0) | 2014.10.04 |
[설악산] 관터골(각수골) - 대청봉 협곡 산행 (0) | 201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