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о♡ 해외원정/[히말라야] 로체 등반

히말라야 로체(8,516m) 원정기(팍딩 - 남체 바자르)

나정희 2017. 5. 3. 22:13

원정지 : 네팔 히말라야 로체(8,516m)’

원정일정 : 2017.03,27~04.18(22일간)

원정일정 : 인천 카투만두 루크라(2,840m) 팍딩(2,610m) - 남체 바자르(3,440m) - 디보체(3,710m) - 딩보체(4,410m) - 추쿵(4,740m) - 임자체 베이스(4,910m) - 임자체 하이피크(5,300m) - 임자체 정상(6,189m) - 딩보체(4,410m) - 로부체(4,910m) - 에베레스트 베이스(5,364m) - 칼라파타르(5,550m) - 로부체(4,910m) - 페리체(4,270m) - 루크라 카투만두 인천 




팍딩에서 히말라야의 1박을 한다.


지진으로 폐허가 된 롯지... 아직 복구가 되지 않았다.



롯지를 배경으로 기념촬영



팍딩의 롯지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다시 남체 바자르를 향해 출발한다.








히말라야도 봄은 와 있었다. 저지대는 사계절이 공존한다.





잠시 가던 길을 멈추고 봄을 만끽한다.







히말라야는 계곡과 계곡을 연결해주는 다리를 자주 만나게 된다.







오르고 내려가기를 반복하며 팍딩 해발 2,610m~ 남체 바자르 3,440m 를 향해 오른다. 





히말라야 물자수송 좁교를 만나는 것도 다반사다. 온순해서 사람을 헤치지는 않는다.













롱다와 히말라야 다리

가장 히말라야적인 것 중 하나가 롱다(사랑, 행복, 염원 기리는 천 조각)가 걸려있는 히말라야 다리다. 지상의 가장 높은 곳을 가기 위해서는 아찔한 협곡을 이어주는 여러 개의 다리를 건너야 한다. 다리 위에는 경전이 새겨진 색색의 천이 묶여져 있다. 이곳을 지나는 등반가. 여행가. 현지인들은 각자 받은 롱다를 이곳에 묶고 각자의 간절한 기도를 하고 간다. 천 길 낭떠러지 다리 위에 짐을 지고가 는 당나귀, 좁교(야크와 물소의 교배종)를 만날 때면 아찔함은 더 배가된다. 그러나 건널 때면 사람보다 이들이 먼저다.











남체 바자르 가는 길은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1

히말라야 최고의 다리다. 2중으로 되어 있어 있다.



  













롱다가 걸려있는 다리를 건너 다시 가파른 오르막을 오른다.




오르고 오르기를 반복하며 남체 바자르(3,440m) 에 도착한다.



남체 바자르의 야시장은 쿰부지역 최대의 교역이다.





산악도시 남체바자르(NamcheBazar)’

네팔 동부에 있는 마을로 에베레스트 남서쪽 약 30km 지점에 위치해 있는 산악도시다. 해발고도 약 3,400m의 고지에 있으며 세르파의 본고장으로 유명하다. 차마고도를 넘어 서쪽의 유럽까지 이어지는 히말라야 교역로였으며 티베트로 통할 수도 있다. 많은 등반가들과 여행자들은 이곳을 근거지로 잠시 머물며 해발 3880M의 에베레스트 뷰 호텔과 에드먼드 힐러리 경(뉴질랜드 등반가.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자)의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공원에서 고소적응을 한다. 두곳에서 바라보는 에베레스트 조망이 일품이다. 토요일이면 큰 야시장이 열리고 등산에 필요한 장비들과 쇼핑을 할 수가 있다. 우리는 하루를 머물며 고소적응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