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о♡ 국내산행/호남권

[지리산] 눈꽃 향기 나는 '천상의 화원' 노고단

나정희 2016. 2. 17. 23:44


“ 겨울과 봄이 공존하는 국립공원 지리산 ”


< 지리산 국립공원 노고단>




지리산도 75일간(산방 기간) 숙면에 들어갔다. 겨울과 봄이 공존하는 국립공원 지리산 노고단에 올랐다.  

전날 전주, 광양 간 고속도로 구례 향전 휴게소 상행선에서 바라보는 노고단 설국 풍경이 머릿속에 지워지지 않는다. 

산사나이의 병이다. 노고단 설국의 손짓하는 유혹에 두근두근 설렘까지... 가슴 앓이에 빠진다. 

아침 일찍 아내와 함께 집에서 1시간 거리 지리산 노고단을 향한다.


설국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에 천은사 매표소에 도착한다. 매표소 직원 왈 " 빙판길이라 통제되었으니 못 간다고 한다 "  시암재까지 갈수 있느냐고 물으니 상선암 입구까지는 갈수 있다고 해서... 속는 셈 치고 진행한다.  직원 공갈쳤다. 시암재까지는 빙판길 없이 오를 수 있었다.

직원 말에 다시 집에 돌아가자며... 옆에서 불안해 하는 아내를 달래 운전까지 했는데...  

   



지리산 서북능선  좌측 만복대 & 우측 바래봉





시암재에서 바라보는 서북능선 마루금 만복대의 설경이다.



시암재부터 성삼재까지는 제설작업이 되지 않아 빙판길이다. 차량통행이 전면 통제되었다.

장비를 갖추고 700여 미터 걸어서 성삼재까지 오른다.

 


성삼재에서 바라보는 구례 산동면 모습이다. 지리산 온천이 있다.



성삼재 휴게소다. 국립공원 차량만 넓은 주차장을 차지하고 있다.

휴게소는 온기가 느껴진다. 평일인데도 영업을 하고 있다.



성삼재에서 서북능선 초입은 설경이 별로다. 저 넘어 만복대로 이어지는 설경은 노고단에서 기대된다.



태양은 벌써 중천에 떠올라 노고단을 환하게 비추고 있다.




성삼재 주차장 가로수 상고대는 햇빛에 반사되어 찬란한 빛을 내고 있다.




노고단 가는 성삼재 초입부터 설국 터널 눈꽃 향기 나는 천상의 환원이다.

아내는 감동의 눈물이 나려고 한다.라며 말한다.  혼자만 주구장창 종횡무진 다닌 자신을 반성한다.



노고단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의 물 소리도 봄은 성큼 곁에 와 있음을 알린다. 흐르는 소리가 제법 크게 들린다.




지리산 파란 하늘에 수놓은 산호초 눈꽃이 아름답다.



노고단 대피소에 도착했다. 고요하다. 평일이라 그런지 전날 숙박하신 분은 없다.




노고단 대피소에서 바라보는 환상의 설국이 발걸음을 잠시 쉬게 한다.




노고단 대피소에서 지리산 주능선 고개를 넘어가는 길은 편안한 임도 길과 가파른 돌길이 있다.



지난 2월 15일부터 75일간 산방 기간으로 지리산도 숙면에 들어갔다. 문은 꽁꽁 잠겨있다.



노고단 고개에서 바라보는 반야봉이다. 하얀 면사포를 쓰고 반야님이 손짓한다.  뒤로 지리산 천왕봉이 살포시 내민다.



노고단 정상은 사전 예약제다. 사전에 국립공원 홈페이지 들어와 예약을 해야 한다.



노고단 정상 가는 길은 환상의 설국 길이 펼쳐진다.



걷다.  뒤를 보아도 설국 세상이다. 가깝게 노고단 고개와 만복대가 반긴다.



가는 길은 아무도 없다. 혼자서 눈꽃 향기 나는 천상의 화원을 걷는다.



지난 월요일 무등산에서 보았던 남극기지?  여기에도 있다. ^^



노고단의 종석대도 멋진 설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노고단 정상에서 바라본 대피소와 저 멀리 성삼재가 보인다.



지리산 서북능선의 만복대다.




우측으로 화엄계곡과 질매재에서 왕시루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다. 당당하게 펼쳐져 있다.



정상의 동쪽 사면이다. 군데군데 눈꽃이 예쁘게 피어있다.



정상의 서쪽 사면이다. 동쪽 사면과는 대조적이다.



노고단 정상석이다.




정상에서 혼자 셀까를 담는다.



가깝게 반야봉도 이렇게 혼자 짝사랑해야 하는가 보다. 5월 이곳을 다시 찾아 반야님을 만나러 가야겠다.



지지난해 수난을 당했던 노고단 돌탑이다.





노고단 정상에서 지리 서북능선을 바라보고 있자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아쉬움에 발길을 돌린다. 큰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노고단 눈꽃을 보고 황홀함에 빠져든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산수유 마을 산동마을에 들린다.  멀리 반복대와 계곡의 봄이 공존하는 모습니다.






꽃을 머금고 있는 산수유 꽃망울이 금방이라도 터트릴 것 같다.



하산길에 이외수 님의 글이 생각난다.  


길을 가는데 가장 불편한 장애물은

자기 자신이라는 장애물이다.

 

험난한 길을 선택한 인간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욕망을 버리는 일에 즐거움을 느끼고

평탄한 길을 선택한 인간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일에 즐거움을 느낀다.

전자는 갈수록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후자는 갈수록 마음이 옹졸해진다.

  

지혜로운 자의 길은 마음 안에 있고

어리석은 자의 길은 마음 밖에 있다.

아무리 길이 많아도 종착지는 하나다.

 

이외수 산문집 - 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 中

" 길에 관한 명상수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