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11

(클라이밍)대한민국 스포츠 영웅 김홍빈 컵&제32회 광주광역시 전국스포츠 클라이밍 대회

대한민국스포츠 영웅 김홍빈 컵 & 제32회 광주광역시 전국 스포츠클라이밍 대회가 성황리 마무리되었다. 사단법인 대한 산악연맹 광주광역시 산악연맹(회장 피길연)은 5월 14일(토) 광주광역시 상무시민공원(내) 인공암벽 경기장에서 2021년 대한민국 스포츠영웅 김홍빈 컵 & 제32회 광주광역시 전국 스포츠클라이밍 대회(코리안컵 1차전) 2022년도 스포츠클라리밍 광주광역시 대표 선발전을 개최했다. 피길연 광주광역시산악연맹 회장은 대회사에 길었던 코로나19 암흑의 터널을 지나 일상 회복을 앞둔 시점에서 큰 대회를 치르게 됨을 전국 스포츠클라이밍 선수, 임원, 관계자, 가족분들께 감사드린다고 했다. 또한,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의 환영사와 김용집 광주광역시 의회 의장, 이상동 광주광역시 체육회장의 축사가 있었다. ..

제1회 전국무등산무돌길 완주대회 모집&접수- 5월18일까지

5.18민중항쟁 42주년 기념과 무등광주정신 계승을 위한 51.8km , 제1회 전국무등산무돌길완주대회가 6월 11일(토) 광주광역시 무등산 무돌길에서 열린다. 제1회 전국무등산무돌길완주대회 요강 ■ 제1회 전국무등산무돌길완주대회 □ 일 시 : 2022년 6월 11일(토요일) 1) 6:00~22:00 : 완주코스 2) 9:00~12:00 : 시민걷기코스 □ 장 소 : 광주역 광장 □ 접 수 : ~ 2022년 5월 18일까지 □ 모 집 : 1)완주코스(51.8km/60km) - 참가비 3만원 2)시민걷기코스(무돌15길 5.18km) -참가비 무료 □ 기념품증정 1) 완주코스 전원 : 기념티셔츠, 완주자 : 완주증, 완주메달 2) 시민걷기코스 전원 : 기념티셔츠 완주자 : 완주증 http://naver.me..

(지리산) 장엄한 천왕일출을 보다.

국립공원의 긴~ 숙면 기간(산불 강조)이 끝나자 지리산으로 향한다. 지리에도 봄볕에 꿈틀대는 숲의 생명력이 살아 숨 쉬고 있었다. 얼마 전 작고하신 소설가 이외수 님의 글이 생각 난다. 앞으로 내가 가는 길은 항상 전자이고 싶다. ■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 中 글 이외수 길을 가는데 가장 불편한 장애물은 자기 자신이라는 장애물이다. 험난한 길을 선택한 인간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욕망을 버리는 일에 즐거움을 느끼고 평탄한 길을 선택한 인간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일에 즐거움을 느낀다. 전자는 갈수록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후자는 갈수록 마음이 옹졸해진다. 지혜로운 자의 길은 마음 안에 있고 어리석은 자의 길은 마음 밖에 있다. 아무리 길이 많아도 종착지는 하나다.

'2022 산악인 합동 추모제 다녀와...

'2022 산악인 합동추모제가 4월 24일(토) 11시 북한산 무당골 산악인 추모공원에서 열렸다. 금번 추모제는 故김홍빈 대장의 명복을 비는 추모행사와 위패가 봉안되었다. 추모제는 유가족을 비롯해 산악 단체장들과 회원, 국립공원 관계자가 참석해 추모의 뜻을 함께했다. 추모제 행사에 앞서 전국에서 많은 산악 관계자분들이 참석하여 먼저가신 산악인들의 영혼을 추모하고 있다. 2021년 대한민국 스포츠 영웅 故김홍빈 대장의 위패도 봉안 되었다. 광주광역시산악연맹 피길연 회장을 비롯하여 임원진들과 김홍빈과희망만들기 회원들도 참석하였다. 추모제는 고인이 된 산악인에 대한 묵념에 이어 엄숙히 진행되었다. 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의 인사말과 각 단체장의 추모사가 이어졌다. "달빛등반" 등반시인 김기섭 산악인의 '북한..

아웃도어활동 2022.04.26

(무등산 무돌길) '22년 제1회 무등산무돌길완주대회 소개- 6월11일

5.18민중항쟁 42주년 기념과 무등광주정신 계승을 위한 51.8km , 제1회 전국무등산무돌길완주대회가 6월 11일(토) 광주광역시 무등산 무돌길에서 열린다. ■대회소개 ■대회요강 ■참가신청 (네이버폼 : http://naver.me/5tjC8Q1i ) ■참가자유의사항 ■코스소개 무돌길은? 무등산이란 이름 이전 최초에 불리어진 무돌뫼 의 이름을 붙여 무돌길 이라 하였고 무 등산 자락을 한 바퀴 돌 아보는 아름다운 길 의 약자이다. ※ 아래 홍보물에 표기된 교통편, 주변 먹거리는 변동될수도 있습니다. □무돌길 제1길 싸리길 싸리길이란 각화마을 사람들이 싸리를 채취하여 넘어 다니는 고갯길로 들산재이다. 그 어원은 싸리라는 뜻이다. 각화마을 사람들은 그 주변에서 싸리를 채취하여 빗자루, 삼태기, 바구니, 병..